CASE BY CASE
복잡하고 어려운 배변 교육
원리부터 이해하기
Q. 실내에서 배변을 잘 못 가리는 개가 있는가 하면, 어떤 개는 밖에 나가야만 배변을 한다고 해요. 그리고 어떤 개는 특정한 바닥에서만 배변을 하고, 교육이 되었던 개가 나이가 들면서 다시 배변을 실수하기도 하고요. 배변 교육은 정말 복잡한 것 같아요.
A. 배변 교육의 핵심 열쇠는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우리 인간과 다른 개가 지니고 있는 본능이 어떤 것인지를 이해하고, 그 다음에는 그 본능을 기반으로 연관을 통해 올바른 배변 습관을 교육하는 것입니다. 개의 본능을 이해하고, 연관을 통해 가르친다! 이것만 염두에 둔다면, 변화는 어느덧 여러분의 곁으로 찾아가 있을 것입니다.
# CASE_1
어떤 배변 장소를 제공했는가?
우리 개가 어떤 바닥을 좋아하는지 찾아내야 합니다. 개가 배변을 위해 선호하는 바닥은 보통 실내보다는 실외에 더 많이 존재하는데, 그 이유는 개는 배변 장소로 다공성 표면을 좋아하기 때문입니다. 다공성 표면이란 바닥 재질이 공기를 머금을 수 있는 것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풀밭, 흙 등은 매끈한 대리석이나 코팅된 바닥보다 공기를 많이 머금고 있는 바닥이죠. 개는 이런 바닥을 배변 장소로 더욱 좋아합니다. 그렇기에 실외로 나가 배변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본능에 맞는 방법이며, 실내에 배변장소를 원한다면 내 반려견이 배변을 하길 바라는 곳에 다공성 표면의 공간이 충분한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간혹 다공성 표면을 제공했음에도 배변 교육이 수월하게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개들은 어떤 바닥에 배변을 하면, 다음에 다시 그 바닥을 찾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바로 배변 교육이 오래 걸리게 되는 이유입니다. 올바른 바닥을 선호하도록 가르치는 최고의 방법은 가능한 한 많이 배변을 원하는 장소로 개를 데려가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더 나은 배변 장소로 바꾸기 위해서는 인내와 끈기가 필요합니다.
# CASE_2
배변 교육을 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했는가?
개는 연관을 통해 배웁니다. 이 사실은 개에게 예절이나 트릭 등 어떠한 행동을 만드는 데에 절대적인 명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내가 원하지 않는 행동을 개가 하는 이유 또한 동일합니다. 내 의도와 관계없이 개 입장에서는 내가 생각하지 못했던 연관 관계를 발견했기에 그 행동을 반복해서 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내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개 입장에서는 연관 관계가 있기 때문에 그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보호자는 내 반려견이 올바른 장소에 배변하는 연관을 맺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배변 패드 위에 소변만 보고 대변을 보지 않는 반려견에게 어떤 변수가 존재할 수 있을까요? 과거에 배변 패드 위나 주변에서 대변 때문에 크게 처벌을 받은 트라우마가 있을 수도 있고, 혹은 배변 패드와 대변을 쉽게 연관시킬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얻지 못했을 수도 있습니다. 반려견 교육은 단 하나의 왕도만 존재할 수 없습니다. 중한 것은 내 반려견의 배변습관에 어떤 연관이 작용하는지 관찰하고 찾아내는 것입니다. 그리고 올바른 연관을 맺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원하는 장소에 배변을 한 반려견을 칭찬하는 식으로 말이죠.
# CASE_3
배변 실수한 반려견을 혼낸 적이 있는가?
‘개는 연관을 통해 배운다’고 설명했는데, 잘못된 배변을 혼내게 되면 개는 흔히 두 가지 연관을 갖습니다. 먼저 보호자가 있을 때 배변하면 처벌이 온다는 연관을 갖게 되어, 보호자가 없을 때에만 배변을 하는 개가 됩니다. 이 말은 개가 사람 앞에서 배변하는 것을 피하고, 배변을 보기 위해 사람이 없는 시간을 기다린다는 뜻입니다. 보호자는 올바른 실내 배변 장소를 알려주기 위해 잘못된 배변을 혼냈겠지만, 인간의 언어를 이해할 수 없는 개는 보호자의 의도와 전혀 달리 보호자가 없을 때 배변을 해야 한다는 연관을 갖게 된 것이지요. 또 집 안에서 배변하면 처벌을 받는다는 연관을 가질 수 있습니다. 실내 배변 시 항상 안 좋은 일(처벌)이 생긴다는 연관성이 깊어지면, 실외 배변만을 고집하게 되는 것입니다.
혼내는 것을 행동학적인 용어로 ‘혐오 자극’이라고 합니다. 모든 동물은 자신들이 싫어하는 자극이 발생하면 그 자극과 멀어지려고 합니다. 오랜 기간 맺어온 인간과 개의 사회적 관계가 없었다면, 우리가 반려견을 혼냈을 때 개는 우리 곁에 머물지 않을 것입니다. 배변 실수를 혼내면 반려견은 좌절합니다. 이 좌절은 행동 형성에도 지장을 주지만, 보호자와 반려견 사이의 유대감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CREDIT
글 이기우(Alex lee)
그림 지오니
에디터 김기웅
본 기사는 <매거진P>에 게재되었습니다.
콘텐츠의 무단 도용, 전재 및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