펫찌로고

앨범으로 보는 식용사

  • 승인 2017-07-25 10:11:03
  •  
  • 댓글 0

HISTORY

앨범으로 보는 식용사

인류의 오랜 친구이기도 한 견공의 역사는 식용이란 이슈를 빼놓고선 논할 수 없다. 우리는 언제부터 개를 먹어왔을까. 고전 속에서 찾은 개식용의 풍경을 소개한다.

d42146de7d97e00b35f8967349043e30_1500943

| 고고학 유물과 문헌에 따르면, 개고기를 먹은 시기는 삼국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d42146de7d97e00b35f8967349043e30_1500943

| 고려시대에는 불교가 성하여 육식을 멀리 하였으나 몽골 침략의 영향으로 다시 육식이 성했다.

d42146de7d97e00b35f8967349043e30_1500943

| 조선 중기 안동의 정부인 장씨가 『음식디미방』에 각종 개고기 조리법을 상세히 기술했다.

d42146de7d97e00b35f8967349043e30_1500943

| 19세기 중반에는 시장에서 개장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목로주점이 열렸다.

d42146de7d97e00b35f8967349043e30_1500943

| 『동국세시기』 “개 잡는 일이 곧 복날의 옛 행사요, 지금 풍속에도 개장이 삼복의 가장 좋은 음식이 되었다.”

d42146de7d97e00b35f8967349043e30_1500944

| 『교거쇄편』 “『예기』 에서 개로 국을 끓여 제사에 쓴다고 하였으나 우리 풍속에서는 제사에 개고기를 쓰지 않는다.”

d42146de7d97e00b35f8967349043e30_1500944

| 개장을 보신탕이라는 명칭으로 부르기 시작한 것은 한국 전쟁 이후인 1942년경부터다.

d42146de7d97e00b35f8967349043e30_1500944

| 이승만 정권 시절, 서양과의 충돌을 우려해 우회해 부르던 것이 굳어졌다.

d42146de7d97e00b35f8967349043e30_1500944

| 개를 이용한 요리는 수십 가지지만 현재 보신탕집에서 팔고 있는 메뉴는 보신탕, 수육, 전골, 무침, 두루치기 정도.?

d42146de7d97e00b35f8967349043e30_1500944

| 현재 강아지들을 식탁에 올리기 위해 대량으로 사육하는 건 한국이 유일하다.

※ 그림과 사진이 내용과 무관한 경우가 있습니다.?

CREDIT

에디터 김나연

본 기사는 <매거진P>에 게재되었습니다.

콘텐츠의 무단 도용, 전재 및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Tag #펫찌
저작권자 ⓒ 펫찌(Petzz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0

추천기사